기타

가계부채 사상 최대, 금리 인하 앞둔 자산시장 향방

북극곰팡이 2024. 8. 21. 15:22
반응형

2분기 가계빚 1896조원, 역대 최대…3분기에도 증가세 지속 예상

최근 3개월(4~6월) 동안 가계빚이 14조 원 가까이 불어나면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매달 수조 원씩 증가하고 있어, 7월 이후에도 가계빚 증가는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4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96조2000억 원으로 1분기 말 대비 13조8000억 원 증가했다. 이는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로, 가계신용은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에 미결제 신용카드 사용액(판매신용)을 더한 포괄적인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특히 가계대출 중 주담대 잔액이 16조 원 증가하며 1분기 증가폭(12조4000억 원)보다 커졌다.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1분기 연속 감소(-2조5000억 원)했지만 감소폭은 1분기(-13조2000억 원)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이 석 달 만에 17조3000억 원 증가한 데에는 주택도시기금 대출이 은행 재원으로 실행된 영향이 컸다.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 증가 배경에 대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늘면서 주담대 증가폭이 커졌고, 신용대출 감소폭은 줄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분기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17만1000호로 1분기(13만9000호)보다 크게 증가했다.

 

7월 이후에도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와 주택 대출 증가세가 가파르다 보니, 가계빚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통상 주택 매매가 이루어지면 2~3개월의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영향을 미친다. 김 팀장은 "3분기 들어서도 가계부채가 2분기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어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금융당국과 은행이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고 있고, 주택공급 대책과 스트레스 DSR 규제 등의 정책 효과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금리에서 금리 인하, 그 뒤에 숨은 폭락의 역사

현재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가 9월로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과거 사례를 돌아보면, 고금리에서 금리 인하로 전환되었을 때 항상 자산시장의 폭락이 뒤따랐다. 이는 세력들이 빚투로 부채를 안고 있는 투자자들을 청산시키기 위한 움직임과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과거 미국의 사례를 보면, 2000년대 초 닷컴 버블 붕괴 시점에도 연준은 고금리에서 금리 인하로 전환했다. 하지만 금리 인하는 곧바로 자산시장의 반등을 이끌지 못했다. 오히려, 시장의 과도한 부채와 과열된 투기 심리가 꺾이면서 급락이 뒤따랐다. 또 다른 예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연준은 금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자산시장의 폭락을 막지 못했다. 당시에도 빚투와 과잉 대출로 인해 발생한 시장의 불안정성이 근본적인 원인이었다.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도 이와 유사하다. 가계빚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금리 인하가 다가오면서 자산시장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세력들은 이 시점을 이용해 부채를 안고 있는 투자자들을 청산시키려 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과거 사례에서 보았듯이 금리 인하가 자산시장의 반등을 즉각적으로 가져오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미국 대선 시기를 앞두고 세력들은 자산시장을 다시 상승세로 이끌기 위해 지금의 불안정한 시장을 일단 청산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금 빚투에 의존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과거의 교훈을 되새기며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

 

과거의 사례를 통해 볼 때, 금리 인하가 항상 자산시장의 반등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지금은 시장에 대한 지나친 낙관보다는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다.

반응형